충남 서천 삶기술학교

삶기술학교

충남 서천
삶기술학교
우리 꿈의 이야기

[ 삶기술학교 시작 ]
・ 2017년~2019년 한산모시문화제 청년기획단으로 처음 충남 서천군 한 산면에서 한산모시를 활용한 문화 프로그램들을 기획/운영하기 시작했다.
・ 한산면의 인구는 2,700명 규모로 청년 연령대는 40~50대로 젊은 세대가 많이 부족하여 지역소멸 위기를 겪고 있었다. 지역 주민들의 환대로 20~30대 청년들이 많이 머물 수 있는 마을을 만들어보자는 결심으로 주민들과 의기투합으로 만들게 되었다.

[ 삶기술학교 조성 과정 ]
・ 삶기술학교 @한산캠퍼스는 도시생활에 지친 청년들이 1,500년의 전통을 이어온 작은 시골마을,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서 대안적 삶을 추구하며 나만의 삶기술로 함께 더불어 사는 자립공동체이다.
・ 도시의 삶기술과 마을의 삶기술을 교환하여 ‘삶기술 프로젝트’ 실험을 통해 자기실현을 돕는 청년성장 지원 코칭 시스템을 만들어 나가고 있다.
・ 삶기술학교는 사회혁신 공동체로서 지역 혁신형 인재를 발굴 및 육성하 며 중앙 및 지방정부, 전문가, 마을 주민과 함께 지방소멸을 동시에 해 결해 나갈 수 있도록 활동하고 있다.

‘삶기술학교’의 의미는?

한산면에서 대안적 삶을 추구하며 나만의 삶기술로 함께 더불어사는 자립공동체, 도시의 삶기술과 마을의 삶기술을 교환하며 ‘삶기술 프로젝트’ 실험을 통해 자기실현을 돕는 대한민국 청년 성장 지원 코칭 시스템

마을 청년 이야기

삶기술학교 마을 청년

김혜진
마을을 경험한 후 느낀점?

서울과 충남 천안에서 문화기획을 시작으로 로컬에서의 삶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충남 서천 한산면에 내려와 정착 활동을 하며 삶기술학교 공동체장 으로서 청년마을을 만들어가고 있다.
디지털노마드를 위한 마을호텔 워케이션 서비스와 서천군 한산면에서 청년들 과 함께 사는 삶을 만들어 가고 있다

.

.

삶기술학교 마을 청년

차병수
마을을 경험한 후 느낀점?

서천군 한산면에서 1500년 역사의 전통주인 한산소곡주에 매력을 느껴 삶기 술학교를 통해 한산소곡주를 리브랜딩하여 ‘일오백’브랜드를 만들어냈다.
전통주의 현대화를 통해 MZ세대에게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다양한 실험을 계속해서 해 나가고 있다.

삶기술학교 마을 청년

추의령
마을을 경험한 후 느낀점?

대구에서 활동하다 삶기술학교 한달살기를 통해 한산면에 정착했다.
바리스타, 플로리스트 등 다양한 경력을 바탕으로 ‘CAFE H’ 라는 지역의 로컬 푸드(한산모시, 한산 소곡주)를 활용한 새로운 카페 창업을 목표로 창업 컨설팅 및 ‘전광수 커피 아카데미’ 교육 이수 등 새로운 지역의 삶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마을이 소개하는
마을 지역

모시로 유명한 한산에서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서 유네스코로 지정된 ‘한산 모시짜기’ 과정을 직접 눈으로 볼 수도 있고, 1594년에 만들어진 전통호텔 문헌서원도 볼 수 있습니다. 서천 남쪽의 판교면에 ‘시간이 멈춘 마을’에서는
근대 건축물을 많이 만나볼 수 있습니다.

마을사진
(주)모라비안앤코 전화 : 02-542-7405이메일 : youthvillage2022@gmail.com운영시간 : 09:30~17:30

COPYRIGHT (C) - ALL RIGHTS RESERVED.